서울에서 나고 자란 서울 촌사람인지라,
좁은 대한민국도 참 낯선 도시가 많습니다.
전국의 여러 지역은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, 전국에 대도시라 할 만한 도시는 얼마나 되는지 궁금해 져 통계를 들여다 봅니다.
전국 행정구역 별 인구 현황
* 2021년 6월 기준
서울, 경기도, 인천에 사는 인구가 딱 50% 입니다.
인천도 정말 큰 도시군요. 거리 상도 제가 사는 곳과 무척 가까운데 이렇게나 뭘 몰랐네요.
행정구역 | 총 인구 | 비중 |
대한민국 총 계 | 51,878,310 | - |
경기도 | 13,246,437 | 25.5% |
서울특별시 | 9,741,383 | 18.8% |
부산광역시 | 3,416,918 | 6.6% |
경상남도 | 3,363,422 | 6.5% |
인천광역시 | 2,925,967 | 5.6% |
경상북도 | 2,670,909 | 5.1% |
대구광역시 | 2,453,041 | 4.7% |
충청남도 | 2,134,742 | 4.1% |
전라북도 | 1,824,181 | 3.5% |
전라남도 | 1,792,319 | 3.5% |
충청북도 | 1,608,745 | 3.1% |
강원도 | 1,530,300 | 2.9% |
대전광역시 | 1,525,849 | 2.9% |
광주광역시 | 1,496,172 | 2.9% |
울산광역시 | 1,147,037 | 2.2% |
제주특별자치도 | 658,560 | 1.3% |
세종특별자치시 | 342,328 | 0.7% |
도 별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는

특별시, 광역시를 제외한 도 별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가 궁금해 졌습니다.
물론 나중에 부동산 투자를 고려하게 된다면, 같은 생활권으로 묶일 수 있는 광역시가 있는지 등 더 고려할 것이 많겠지만 지금은 제반 지식을 쌓는 차원으로 우선 숫자를 머릿속에 넣어 봅니다.
* 2021년 6월 기준
* 비중은 해당 도의 총 인구 대비 비중
도 | 행정구역 | 지역별 인구 | 비중 |
강원도 | 원주시 | 350,252 | 12.0% |
경기도 | 수원시 | 1,193,894 | 12.3% |
경상남도 | 창원시 | 1,044,579 | 2.0% |
경상북도 | 포항시 | 506,494 | 15.1% |
전라남도 | 여수시 | 271,741 | 15.2% |
전라북도 | 전주시 | 654,963 | 42.8% |
충청남도 | 천안시 | 652,845 | 40.6% |
충청북도 | 청주시 | 840,047 | 245.4% |
전국 대도시 현황
대도시란?
지방자치법 상 대도시라 함은 인구 50만 이상의 도시를 뜻한다. 이 중 인구 100만 이상의 도시들은 특별시 나 광역시 로 승격되지 않은 경우 광역자치단체 에 준하는 특례가 적용되어 공식적으로 특례시 라고 불린다.
아 이래서 경기도 수원시가 '특례시' 군요.
무릎 탁 칩니다.
그럼 인구 50만이 넘는 도시는 우리나라에 얼마나 될까요? 제가 이걸 알아본 이유는 유튜브 '김프로TV'에서 너나위님이 하신 말씀이 떠올라서 입니다. 너나위님은 초보자 라면 인구 50만 이상 도시 위주의 투자를 조언 하셨거든요.
* 2021년 6월 기준
* 특별시, 광역시는 제외. 특례시는 포함
행정구역 | 지역별 인구 |
경기도 수원시 | 1,193,894 |
경기도 고양시 | 1,068,641 |
경기도 용인시 | 1,061,440 |
경상남도 창원시 | 1,044,579 |
경기도 성남시 | 942,649 |
충청북도 청주시 | 840,047 |
경기도 부천시 | 828,947 |
경기도 화성시 | 818,760 |
경기도 남양주시 | 702,545 |
전라북도 전주시 | 654,963 |
충청남도 천안시 | 652,845 |
경기도 안산시 | 650,599 |
경기도 안양시 | 565,392 |
경상남도 김해시 | 542,713 |
경기도 평택시 | 514,876 |
경상북도 포항시 | 506,494 |
수도권을 제외하니 인구 50만 이상 대도시가 6개 뿐이네요. 어떤 도시에 좀 더 집중해 공부를 해 볼지 감이 잡히는 느낌입니다.
직장인 J 다른 글 보기
2022.06.27 - [부동산 공부] - [통계] 지난 50년 간 전국과 서울의 지가 변화
댓글